전기화학적 활성 표면적(ECSA)은 전극 표면에서 전기화학 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유효 면적을 의미합니다. 전기화학 과정에서 더 큰 활성 표면적은 더 많은 반응 사이트를 제공하므로, 반응 속도와 지속 가능한 전류 밀도를 향상시킵니다. 또한, ECSA의 정확한 측정은 실제 반응 동역학을 규명하는 데 필수적이며, 촉매 활성 연구에 특히 중요합니다. 그러나 물질의 형태/구조, 물리화학적 특성, 전해질 상호작용, 표면 흡착 현상, 비-파라데이 과정, 전기 전도도 및 활성 사이트의 고유 활성/밀도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전극 재료의 ECSA를 정확하게 정량화하는 것은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전기화학적 활성 표면적(ECSA)은 기하학적 면적과 상대적인 개념입니다. 일반적인 전극의 경우, 활성 사이트는 전해질과 접촉하는 표면 영역으로 간주됩니다. 많은 활성 사이트가 단순한 단층 구조가 아니며 물리적으로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하학적 면적이 종종 ECSA로 근사됩니다. 그러나 나노 물질 전극(특히 니켈 폼이나 기체 확산층 전극과 같은 나노 촉매가 로딩된 다공성 전극)의 경우, 증가된 비표면적은 더 많은 활성 사이트를 노출시킵니다. 따라서 기하학적 면적을 사용해 전류 밀도를 계산하면 촉매의 실제 활성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기하학적 면적은 ECSA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동일한 재료라도 기판 위에 수직 배열로 배치되거나(또는 기판에서 확장된 나노 구조물 위에 형성될 경우), 노출된 촉매 표면적이 크게 증가하여 전류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습니다.
ECSA는 다음과 같은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광법(EIS)
·순환 전압전류법(CV)
·정전류 방전(CCD)
가장 신뢰할 수 있는 ECSA 측정 방법은 전극 표면의 특정 이온/기체 흡착(예: Pt에서의 CO 또는 H₂ 흡착)에 의존합니다. 또한, 과전위 증착(UPD)을 통해 표면적을 평가할 수도 있습니다. 전압 변조 산화 상태 변화도 측정 방법으로 사용되지만, 이 방법들은 재료 특이적입니다.
일반적인 대체 방법으로는:
·BET 법: 진공 조건에서 기체 흡착을 측정합니다. 충분한 신호 강도를 얻으려면 시료의 비표면적이 수 m²/g 이상이어야 합니다. 미세 분말에는 적합하지만, 작은 면적의 전극에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이중층 커패시턴스(DLC) 법: ECSA 추정에 널리 사용됩니다.
(참고: BET와 DLC 결과는 수십 배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전기 촉매 활성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촉매 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려면 종합적인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현재 CV와 EIS는 전기화학적 이중층 커패시턴스(Cdl)를 통해 ECSA를 계산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Cdl측정 방법:
(1)CV 법: 비-파라데이 영역에서 여러 주사 속도로 용량성 전류를 측정하고, 전류-주사 속도의 선형 기울기로 Cdl을 계산합니다.
(2)EIS 법: 다양한 주파수에서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Cdl을 도출합니다.
CV 방법이 더 간단하며 일반적으로 더 많이 사용됩니다. 측정 프로토콜은 산화환원 반응이 없는 전위 구간(보통 개방 회로 전압(OCV) 주위 ±50–100 mV 범위)에서 순환 전압전류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충전 전류(IcIc)는 주사 속도(vv) 및 이중층 커패시턴스(CdlCdl)와 선형 관계를 가지며, 그 관계는 다음 식으로 표현됩니다:
ECSA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Cs는 동일한 조건에서 매끄러운 기준 표면의 비정전용량을 나타냅니다.
(1)수소 과전위 증착(HUPD)법
적용 재료: Pt, Pt 합금, Ru, Ir
·CV 범위: 0.0~1.0 V (vs. RHE)
·주사 속도: 50 mV s⁻¹
·전해액: 0.1 M HClO₄ 또는 0.5 M H₂SO₄
·ECSA 계산식: ECSA = QH / 0.21
QH: 수소 탈착 영역 적분 전하(mC)
0.21: Pt 표면 단층 수소 흡착/탈착에 필요한 전하량(mC cm⁻²)
(2)CO 스트리핑법
적용 재료: Pt, Pd
·CV 범위: 0.0~1.0 V (vs. RHE)
·주사 속도: 20 mV s⁻¹
·전해액: 0.5 M H₂SO₄
·ECSA 계산식: ECSA = Q / 0.42
Q: CO 탈착 영역 적분 전하(mC)
0.42: Pd 표면 단층 CO 흡착에 필요한 전하량(mC cm⁻²)
(3)산화환원 피크법(정확도 낮음)
적용 재료: Au, Pd, 탄소 기반 재료
·CV 범위: 0.0~1.6 V (vs. RHE)
·주사 속도: 100 mV s⁻¹
·전해액: 0.1 M KOH
·ECSA 계산식: ECSA = Q / 0.42
Q: 환원 피크(AuO→Au) 적분 전하(mC)
0.42: Au 표면 산소 흡착에 해당하는 전하량(mC cm⁻²)
(4)구리 과전위 증착(Cu UPD)법
·적용 재료: Pt, Pd, Pt 합금
·CV 범위: 0.0~1.6 V (vs. RHE)
·주사 속도: 5 mV s⁻¹ 및 10 mV s⁻¹
·전해액: 0.1 M H₂SO₄ + 0.5 mM CuSO₄
·ECSA 계산식: ECSA = Q / (0.42 또는 0.46)
Q: 구리 스트리핑 산화 피크 적분 전하(mC)
0.42/0.46: 단층 구리 흡착/탈착에 필요한 전하량(mC cm⁻²)
비-파라데이 영역에서 다중 주사 속도 CV 테스트는 특정 파라미터 설정이 필요합니다. 주사는 개방 회로 전압(OCV)에서 시작하여 사전 정의된 종료점에서 끝납니다. 이 방법의 핵심은 용량성 전류만이 지배적인 적절한 전위 창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산소 발생 반응(OER) 연구의 경우, 물 산화 및 이 임계값 이상 100 mV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양이온/음이온 산화환원 과정(예: Ni²⁺/S²⁻ 산화)을 피하기 위해 전위를 1.23 V (vs. RHE)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1.23 V 미만 영역은 이론적으로 비-파라데이 영역이지만, 재료에 따른 변동으로 인해 신중한 창 선택이 필요합니다. 1.05-1.15 V (vs. RHE) 범위가 귀금속, 전이 금속, 산화물, 황화물 및 수산화물에 대해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합니다. OCV 불안정성 및 파라데이 과정 포함 가능성으로 인해 OCV 중심 창은 피해야 합니다.
주사 전 안정화 기간은 일반적으로 수초에서 수십 초(1-100,000초 사이로 설정 가능)입니다. 주사 속도는 5-200 mV s⁻¹ 범위에서 1-500,000 사이클로 설정하며, 기본적으로 각 사이클마다 2,000개 데이터 포인트를 수집합니다(총 포인트 = 2000 × 사이클 수).
비-파라데이 영역에서는 영 전류를 기준으로 대칭적인 직사각형 CV 곡선이 나타납니다. 1.05-1.15 V (vs. RHE) 범위 내 비대칭성은 일반적으로 재료의 충/방전 불균형 또는 과방전을 나타내며, 현저한 음의 분극 전류로 나타납니다. 교정 방법은 이 창 내에서 저주사 속도(10 mV s⁻¹)로 사이클링을 진행하여 평형이 회복될 때까지(영 전류 기준 CV 대칭) 유지하는 것입니다. 전도도에 따라 필요한 사이클 수가 결정됩니다: 고전도 재료는 수십 사이클 내에 안정화될 수 있지만, 전도도가 낮은 재료는 느린 전하 이동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200회 이상의 사이클이 필요합니다.
고효율 중공 바늘형 구리-코발트 설파이드 이중 기능 전기촉매를 이용한 수소 생산 및 에탄올 업그레이딩 동시 향상——《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021, 602권: 325-333쪽
전기화학적 활성 표면적(ECSA) 측정 및 보정은 전기 촉매 메커니즘 연구의 핵심 요소로 주요하게 적용되는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촉매 성능 평가——활성 계면을 정량화하여 효율성 분석 및 최적화 시 활성 사이트 밀도 규명; 연료 전지 연구——특히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s)에서 촉매 성능 진단 및 효율 개선; 전기 촉매 반응 실험——촉매 비교 분석, 신소재 설계 및 메커니즘 연구를 위한 핵심 데이터 제공; 동역학 파라미터 평가——HER(수소 발생), HOR(수소 산화), OER(산소 발생), ORR(산소 환원) 등 에너지 반응에서 ECSA 기반 전류 정규화로 정확한 동역학 파라미터(예: 부식 속도) 도출; 그리고 재료 종합 성능 특성화——전기화학적 활성, 이온 확산 속도 및 촉매 행동 평가.
ECSA 연구는 전기 촉매 성능 분석의 필수 요소입니다. 최적 조건에서의 촉매 스크리닝, 배터리 소재의 전기화학적 활성 테스트, 고효율 연료전지 및 수전해 시스템 등 재생에너지 기술 발전에 기여하며, 이에 따라 ECSA는 배터리 및 촉매 R&D에서 없어서는 안 될 도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Seoul: NEWARE
19th Taerung Techno Town, Gasan-dong, Geumcheon-gu, Seoul 1314, 70 Gasan digital 2-ro, Geumcheon District, Seoul, Korea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2로 70, 대륭테크노타운19차 1314호)